항목 ID | GC01801605 |
---|---|
영어의미역 | Folk Tale of Government Official and Malrae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두천리 |
집필자 | 김남경 |
성격 | 설화|지명유래담 |
---|---|
주요 등장인물 | 원님 |
관련지명 | 두천리|말래 |
모티프유형 | 원님과 말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두천리에서 마을 이름과 관련되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울진문화원에서 1998년에 간행한 『울진의 설화』에 채록 내용이 실려 있으며, 울진군청이 2006년에 간행한 『울진군지』에도 같은 내용이 실려 있다.
지금의 울진군 북면 두천리는 옛날에 한양으로 가는 길인 십이령 길목이어서, 한양으로 가기 위해서는 이 마을을 지나야 했다. 이 고을 원님이 부임할 때는 반드시 이 길을 거쳐 가는데, 어느 날 원님이 말을 타고 지나가다가 날이 저물어 안말래[內斗川] 장평(長坪)에서 숙박하게 되었다. 그런데 자고 나니 원님이 타고 온 말이 간 곳 없이 사라져버렸다.
하루 종일 원님과 아랫사람들이 말을 찾았는데, 지금의 안말래 다래 덩굴 밑에서 말을 찾을 수 있었다. 이로부터 ‘말래[馬來]’라는 이름이 전해 내려오게 되었다고 한다. ‘두천(斗川)’은 말래[馬來]의 ‘말’에서 ‘말 두(斗)’ 자를 따고, ‘래(來)’를 ‘내’로 하여 ‘내 천(川)’ 자를 따서 부르게 된 이름이다.
「원님과 말래」의 기본 모티프는 한국의 전 지역에서 전승되는 원님과 말이 함께 등장하는 유형의 민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