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행곡 이야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801637
한자 杏谷-
영어의미역 Folk Tale of Haenggok
이칭/별칭 「쌀골」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행곡리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김남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지명유래담
주요 등장인물 임유후|쌀|살구
관련지명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행곡리
모티프유형 천량암 쌀|주천대 살구꽃

[정의]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행곡리에서 행곡의 유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행곡 이야기」근남면 행곡리에 위치한 천량암주천대에 관련된 지명 전설이다. 원래의 지명은 천량암(天糧岩)[일명 쌀바위]의 구멍에서 아침저녁으로 쌀이 나온다고 하여 지은 마을 이름이 ‘쌀골’이었다. 그런데 만휴(萬休) 임유후(任有後)[1601~1673]가 주천대에서 시를 지을 때 살구꽃이 만발한 것을 보고 ‘쌀골[米谷]’보다 ‘살구골’이 좋다 하여 ‘행곡(杏谷)’이라고 했다.

[채록/수집상황]

1998년에 울진문화원에서 간행한 『울진의 설화』에 채록 내용이 실려 있다.

[내용]

근남면 행곡리에 관한 이야기이다. 행곡이라는 명칭은 천량암에서 쌀이 나왔다고 하여 ‘쌀골’이라고 불리다가 조선시대 인조 때, 이 마을에 머물렀던 만휴 임유후 선생이 주천대에서 묵객들과 시를 지을 때 냇가의 앞에 살구꽃이 만발한 것을 보고 ‘쌀골’보다 ‘살구골’이 좋다고 하여 ‘행곡’이라 하였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행곡 이야기」의 주요 모티프는 ‘천량암 쌀’과 ‘주천대 살구꽃’이다. 주천대의 살구꽃 경관이 뛰어난 봄 경치로 인하여 쌀골에서 살구골로 바뀌었고, 이것이 한자어로 변용되어 행곡으로 명명되었다는 지명유래 설화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