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매화리에서 옮긴 도선서원의 매화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8B010104
지역 경상북도 울진군 매화면 매화2리
지역 경상북도 울진군 매화면 매화2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여수경

매화리남수산 정상에 바라보면 마을의 형상이 매화꽃잎과 같고 그 부근의 산봉우리가 매화꽃가 같다고 하여 연유된 이름이다. 일설에서는 조선조 광해군 때 강원도관찰사(江原觀察使) 기자헌(奇自獻)이 이곳을 지나다가 마을 주위의 들에 해당화가 만발하여 장관을 이루고 있는 것을 보고 「야다강매(野多江梅)」라는 시(詩)를 읊었던 연유로 매야(梅野)라 하다가 후에 매화(梅花)로 바뀌었다고 하기도 한다. 마을주민들에 의하면 군부대가 들어서기 전까지만 하여도 마을의 주변 일대로 매화가 만발하여 봄이면 그 향기로 머리가 지끈거릴 정도였으며, 어느 정도 마을에 오면 매화향기부터 마을 사람들을 반기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매화리에 대한 또 다른 설명으로는 조선 선조 때 윤여호(尹汝虎) 옹의 부인 공인(恭人) 영양남씨(英陽南氏)가 이곳에 정착하면서 조상이 살던 영덕군 매일동(梅日洞)의 매(梅)자를 따서 매화(梅花)라 하였다고 전하고 있다. 매화리영양남씨가 정착했다고 알려진 곳은 마을의 초입에 위치한 까치마을이라 불리는 곳이다. 까치마을에 있는 남계식 가옥은 평탄한 부정형 대지에 넓은 마당과 함께 동향으로 본채가 자리 잡고 있다. 매화리 다른 가옥과 크게 구별되지 않는 6칸 온돌중심형 겹집의 형태를 띤다. 본채는 정면 3칸반, 측면 2칸 규모인데 5량가의 건실한 가구로 꾸민 팔작기와집으로, 사랑웃방과 사랑아랫방, 큰방과 마루, 정지와 고방, 봉당과 마구로 이루어졌다. 마구 옆에는 변소가 설치되어 있다. 마구 위에는 다락과 정지, 부뚜막 위에는 벽장을 두어 수납공간을 활용하고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남계식의 집 1

명칭에 대한 그 정확한 유래는 알 수 없지만, 일찍이 이곳에 매화가 많았음은 마을 사람들을 통해서 확인되는 바이다. 마을 사람들에 의하면 산 아래 강이 있는 마을이라고 하여 ‘뫼하(山河)’가 되었다고 전하기도 하나, 마을 곳곳에 강매(江梅)가 많아 매화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더 맞을 것 같다고 전한다. 그 연유야 어떠하듯 매화는 매화리의 지명에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이곳의 매화는 일찍이 일반 매화와는 다른 것으로, 식물학적으로 야생 청매화라 불리는 것이다. 나무의 몸통에는 가시가 많고 꽃받침은 푸르며 꽃잎은 백색이면서 푸른 옥색이 감도는 것으로 이 매화는 일반 매화와는 구분된다. 일찍이 도산서원 산기슭에 화단을 만들 때 매화리의 매화나무를 분주해 가서 이식하였다는 내용이 전해진다. 「도산기(陶山記)」에 의하면 퇴계 선생께서 도산서원의 산기슭에 화단을 만들고 매화와 대나무, 소나무, 국하 등의 각종 꽃을 심어 절우사(節友社)라 불렀는데, 여기에 매화가 바로 울진의 매화리 매화를 분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매화밭

그리고 당시 분식해 간 매화는 일반 매화가 아닌 매화리 일대에서 자생했다고 알려진 야생청매화로 알려져 있다. 오늘날 마을에서 야생청매화를 찾기는 어려워 과거 이곳에 야생청매화가 만발하여 매화라 불렸는지는 그 정확한 유래를 알 수는 없다. 그리고 마을 사람들의 머리를 지끈거리게 할 정도로 지천으로 피어 있었다고 전해지는 매화가 역시 이 청매화였는지는 확인할 길이 없다. 다만 마을에서 오랫동안 거주하였던 윤현수에 의하면 1980년대 당시 마을 뒷산에 많이 피어 있던 야생청매화 한 그루를 채취하여 자신의 마당에 옮겨 심었으며, 그것이 아직도 자라고 있음을 통해 이곳의 매화는 일반적인 매화와는 구분되는 야생청매화가 이곳에 만발하였음을 짐작하게 한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