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시어머니로부터 전수받은 매화쌀엿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8B020302
지역 경상북도 울진군 매화면 매화2리
지역 경상북도 울진군 매화면 매화2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여수경

가을걷이가 끝나고 농한기가 되면 매화마을의 부녀자들 손길은 바빠진다. 먹을거리가 많지 않은 과거 마을에서는 겨울 동안 먹기 위한 군것질거리를 가을에 만들어 두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손으로 빚은 쌀엿이며, 이를 마을 사람들은 매화쌀엿이라 부른다. 쌀엿은 과거 사대부 자녀들이 과거급제를 기원하며 만들어 먹었으며 벌꿀이 귀하던 시절 새 신부가 시집갈 때 꿀단지에 넣어 보내지던 예물이기도 하다.

매화리에서 쌀엿은 논농사를 많이 짓는 이곳에서만 누릴 수 있는 행복과도 같은 것이다. 산촌이나 해촌처럼 쌀을 구경하기 힘든 다른 마을에서는 쌀로 군것질거리를 만든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었다. 하지만 이곳에서 가장 많이 나는 것은 쌀이었으며, 쌀로서 겨우내 가족들이 먹을 수 있는 군것질거리 또는 식량을 대용할 수 있는 음식들을 만들어 저장하고자 하였으며 그런 차원에서 쌀엿과 조청 등이 만들어졌다.

50대 이상 매화마을의 여자라면 한번쯤은 쌀엿을 가정에서 만들었던 경험을 가지며, 설령 시집을 오기 전 그 과정을 몰랐다면 시어머니로부터 가장 먼저 전수받는 것도 바로 이 쌀엿을 만드는 과정이었다. 하지만 쌀엿을 만드는 과정은 고되면서도 외롭고 힘든 작업이었다. 하루 동안 불 앞에서 엿을 고아야 하며 불과 싸움을 벌여야 하는 등 전 과정을 정성을 들이면서 지켜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쌀엿을 빗는 과정은 먼저 생산된 쌀 중 좋은 것을 골라 잘 씻고 난 뒤 물에 불린다. 불린 쌀은 엿기름과 혼합하여 독에 넣어 두는데 약 8시간 동안 당화시켜야 한다. 당화시킨 쌀은 삼베자루에 넣어 틀에 올려 물을 짜는데, 이 엿물이 ‘당화액’이 된다. 틀은 큰 독 위에 나무토막을 올려놓고 그 위에 불린 쌀을 감싼 삼베자루를 올려놓는데 그 아래로 흰색의 물이 떨어지는데 이것이 당화액이다. 마지막까지 모은 당화액은 다시 솥에 부어 5~6시간 동안 졸인다. 이 과정은 가장 어려우면서도 정성을 요하는데, 조금이라도 한눈을 팔게 되면 당화액이 타게 됨에 따라 불 조절과 함께 눌러 붙지 않도록 중간중간에 저어주어야 한다. 수분은 증발하고 순수 쌀기름만 남게 되는데 이것이 조청이 된다. 조청을 떠서 실온에 하루 정도 두게 되면 전체적으로 덩어리가 지게 되는데 덩어리 진 조청을 아랫목에 다시 3~4시간 정도 놓아두면 표면이 녹게 된다. 녹은 표면을 밀가루 반죽하듯 주무르기를 반복하면 엿을 만들 수 있는 흰 덩어리가 된다. 엿은 이것을 늘이고 줄이고를 반복하면서 만들어지기 시작한다. 흰덩어리의 엿을 양쪽에서 두 사람이 서서 늘이고 줄이기를 반복하게 되면 엿은 길게 늘어서게 된다. 이 과정은 힘의 강약 조절이 필요하며 상호 마주보며 행동을 읽어야 하는 등 상대방과 함께 행해야 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엿가락 늘이기 과정은 마음이 가장 맞는 사람과 행하며 가정에서는 부부가 함께 행하기도 한다. 또는 마을에서 품앗이 하듯 상호 노동력을 제공해 주는 사람들이 짝이 되어서 이 일을 행하기도 한다. 엿가락 늘이기를 반복하면 엿을 일렬로 세우고 가위로 삭둑삭둑 자르기를 시작하는데, 이 과정에서 아무리 더워도 방은 따뜻하게 한 뒤 행한다. 엿이 길게 늘어지는 과정에서 빨리 굳어질 수 있으며, 온도 차로 인해 엿의 표면에 굳어 거칠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엿 표면이 거칠어지는 것을 매화사람들은 엿에 소름이 돋았다고 한다. 그리고 마지막 길게 늘어뜨린 엿은 빠른 움직임으로 가위로 알맞은 크기로 자르면 모든 과정은 끝나게 된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매화리 전경

늦가을과 겨울에 만든 엿은 과거 집안 식구들의 먹을거리가 되었지만, 때때로 농한기 부수입을 올리기 위한 소득상품이 되기도 하였다. 매화장터가 열리는 날이면 매화사람들은 각 가정에서 만든 쌀엿을 봉지에 담고 장터에서 이것을 팔았는데, 유독 이곳의 쌀엿이 다른 곳에 비하여 달지 않고 입 천정에 붙지 않아서 인기가 좋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은 그 과정이 복잡하고 노동력이 많이 들어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중단되었으며, 약 5가구만이 과거 방식으로 매화쌀엿을 만들고 있다. 이외 매화쌀엿 공장에서 기계를 이용하여 쌀엿을 생산하고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