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801702
영어의미역 Asian Highway-Uljin National Highway 7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경상북도 울진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기봉

[개설]

과거부터 울진을 찾아가는 길은 멀고도 험했다. 선인들은 ‘등허리 긁어서 안 닿는 곳’이라는 말로 찾아가기 힘든 울진을 표현하였다. 국도 7호선은 지리적으로 오지에 위치한 울진을 연결하는 주요한 연결 도로이다. 경상북도의 동북단이라는 위치적 약점에도 불구하고 동해안의 남쪽과 북쪽을 잇는 주요한 연결망인 국도 7호선의 중심점에 울진이 자리 잡고 있다. 또한 국도 7호선은 동해안의 도시 간 물류 교통의 중심 역할과 함께 주요 관광 교통로로서 국내에서 벗어나 북한에서 러시아까지 연결되는 국제적 연결망인 아시안하이웨이로 거듭나고 있다.

[동해안을 잇는 중심망, 국도 7호선]

경상북도 동단에 위치한 울진은 서쪽으로는 태백산맥의 험준한 준령이 가로막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동해가 인접하고 있어 접근이 용이하지 못한 곳이었다. 서쪽에 위치한 서울에서 울진으로 가기 위해서는 강원도 강릉을 지나 삼척을 넘어야 했고, 중부 또는 남쪽에서는 포항을 거쳐 영덕을 지나서야 울진에 발을 들여놓을 수 있었다. 과거 울진 사람들은 멀리 돌아가야 하는 불편함을 덜기 위해 험준하기 이를 데 없는 십이령을 넘었으니 돌아가기보다는 차라기 심신의 고달픔을 선택한 것이었다.

국도 7호선은 지리적으로 오지에 위치한 울진을 연결하는 주요한 연결 도로 중 하나이다. 태백산맥 동사면 지역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국도 7호선은 부산에서 시작하여 강원도 온성에 이르는 총 연장 길이 515㎞에 이르는 동해안 교통의 대동맥이다. 부산광역시 도로원표에서 직항하여 경상남도와 경상북도·강원도를 거쳐 휴전선까지 연결되며, 이 중 82㎞는 울진의 해변을 따라 위치한다.

울진군의 남북 총 경계 길이는 130㎞인 반면 국도 7호선은 울진을 남북으로 연결하며 그 길이는 82㎞로서 울진군 전체의 63%를 차지한다.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울진군의 남북을 국도 7호선이 연결하고 있다고 하여도 무방하며, 이는 모두 동해안의 해안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일찍부터 이 도로를 통해 외지인들은 울진을 찾았으며, 내부인들은 포항과 영덕·삼척·동해·강릉 등으로 뻗어 나갔다.

또한 경상북도의 동북단이라는 위치적 약점에도 불구하고 동해안의 남쪽과 북쪽을 잇는 주요한 연결망인 국도 7호선의 중심점에서 울진이 자리 잡고 있다는 점에서 일찍이 교통의 요지로 역할을 할 수 있게 한 원동력이 되었다. 오늘날에는 동해안을 찾는 관광객들이 꼭 거쳐야 할 곳으로 사계절 상관없이 관광객들이 맛과 멋 또는 즐거움을 즐기기 위해서 찾는 곳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곳이 되었다.

[국도 7호선을 달리며 맛보는 울진의 정취]

울진의 해안선을 따라 형성된 국도 7호선은 바다와 멀어졌다가 다시 만나고, 만났다가 헤어지기를 여러 차례 반복하면서 울진의 많은 것들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울진 교통의 척추 역할을 하는 국도 7호선을 거쳐 울진을 동서로 연결하는 도로들이 가지 모양으로 뻗어 있음에 따라, 국도 7호선을 따라 남과 북으로 이동하면 울진의 모든 곳과 연결될 수 있는 색다른 재미가 따른다.

부산에서 출발된 국도 7호선이 울진에서 가장 먼저 도착하는 곳은 후포항이다. 죽변항과 함께 울진의 주요 항구로서 영덕대게와 기 싸움을 펼치고 있는 울진대게의 집산지이기도 하다. 매년 12월에서 이듬해 4월까지 후포항에서는 새벽 6~7시경 울진대게의 경매로 분주한 때를 보내게 되는데, 국도 7호선에서 후포항을 잠시 들러 울진대게를 맛보고 후포항에 위치한 낙서등대에 들러 작은 흔적을 남기는 것도 재미가 있다.

후포항을 지나 다시 북쪽으로 달려가다 보면 관동팔경 중 제1경인 월송정에 이르게 된다. 한말의 의병장 신돌석이 1904년 27세 나이로 이곳에 올라 기울어져 가는 조국의 현실을 한탄하며 우국충정의 마음을 읊었다고 전해진다. 달밤에 송림 속에서 놀았다고 하여 월송정이라 불리는 이곳에서 소나무 내음과 바다 향기가 조화된 솔숲을 거닐며 시간을 보내는 것도 좋을 듯하다.

다시 북쪽으로 달려가면 동해 바다와는 멀어져 오리 농법으로 유명한 울진의 친환경농법단지를 통과한다. 여름철 사람의 무릎만큼 커 버린 벼들 사이로 헤엄쳐 다니는 오리 가족들을 보고 있노라면 ‘땅속까지 깨끗합니다’라는 울진 관광 안내도에서 본 글씨가 생각나 웃음을 짓게 한다. 도로는 이제 해안에서 멀어져 울진의 산과 바다가 만들어낸 평지를 지나간다. 하지만 2차선으로 시원스럽게 펼쳐지던 도로는 중간 중간 공사로 인해서 끊어지고 S자를 그리면서 아직은 미완성된 거친 곳을 접하게 된다.

1989년부터 시작된 국도 7호선의 확장 공사는 현재까지도 진행 중이다. 예산 부족에다 주민과 관계 기관의 의견 차이로 인해 우여곡절을 겪고 있는 국도 7호선의 현실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국도 7호선의 주변 풍경은 지나가는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해안에서 벗어나는가 싶더니 다시 길은 바다와 만날 듯 말 듯 강을 지나간다. 국내 최대 생태계 보전 지역인 왕피천은 울진군의 근남면에서 매화천광천의 2대 지류와 합친 다음 동해로 들어가는데, 왕피천과 동해가 만나는 지점에 관동팔경 중 제일가는 곳이라 하는 망양정이 위치한다. 숙종이 관동 제일루라는 친필의 편액을 하사하였다고 전해지는 이곳에 잠시 들리니 송강 정철관동별곡 한 구절이 문득 떠오른다.

“망양정 오른 말이 바다 밖은 하늘이니 하늘 밖은 무엇인고/ 가뜩 노한 고래 뉘라서 놀래관대 불거니 뿜거니 어지러히 구는지고/ 은산을 꺾어내며 육합에 나리는 듯 오월장천에 백설은 무삼일고/ 져근듯 밤이 들어 풍랑이 정하거늘 부상지척에 명월을 기다리니/ 서광천장이 뵈는 듯 숨는고야”

망양정에서 보는 동해 바다는 말 그대로 어디가 하늘인지 어디가 바다인지 알 수 없을 듯 푸르기만 하다. 망양정 아래에는 2007년 해양수산부에서 전국의 어촌 마을을 대상으로 선정한 아름다운 어촌 마을 12곳 중의 하나인 산포마을이 위치한다. 야경이 더 아름다운 수산교를 지나면 오른쪽으로 2005년 세계친환경농업엑스포가 개최되었던 울진의 명소 엑스포공원을 만난다. 주말이면 친환경 농산물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장터가 열리며, 친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것들을 경험할 수 있는 전시관도 있다.

이제 다시 바다와 멀어져서 2차선으로 시원하게 뚫린 도로를 지나가면 왼쪽으로 울진군의 중심 도시 울진읍을 지난다. 울진읍을 관통하는 도로는 이곳을 벗어나 금강송으로 가는 지방도 977호선에서 다시 만나게 된다. 지방도 977호선을 따라 왼쪽으로 길을 돌리면 이제 울진의 산을 접하게 된다. 다시 국도 7호선에 들어서 북쪽으로 달려보면 어느새 길은 바다와 접하고 있다. 해안을 따라 다시 북쪽으로 올라가면 길은 문득 끊어진 듯 막다른 길에 접하면서 우회 도로로 향하게 된다. 해안을 따라 길을 지나가면 바다에서 길 안내자 역할을 하는 죽변등대가 도로 안내자가 되어 저 멀리 모습을 드러낸다. 동해안 어업 전진 기지로 알려져 있는 죽변항이 눈앞에 드러난다. 잠시 죽변항에 들러보자.

동해안 어업 전진 기지이자 군사 요충지로 알려져 있던 죽변항은 동해를 통해 넘어오는 외부 침략자들을 막기 위해 여러 군사 시설이 있던 곳이다. 또한 내륙에서는 직선 거리로 울릉도와 가장 가까운 곳으로 맑은 날이면 울릉도가 보인다고 알려져 있는 곳이다. 대나무가 많아서 대나무 죽(竹)을 써서 죽변이라 이름 지은 이곳은 이제 드라마 촬영지로 알려져 있다. 드라마 「폭풍 속으로」 촬영을 위해 사용했던 죽변교회 건물은 관광객들이 즐겨 찾고 있다.

죽변항으로 돌렸던 길을 다시 북쪽으로 돌려 죽변을 넘어서면 길은 새롭게 생긴 삼거리에 이르게 된다. 해안을 따라 직진을 할만도 하지만 길은 왠지 그곳을 피해 먼 산을 돌아가고 있다. 그곳은 1970년대 울진에서 많은 이야기 거리를 남기며 생긴 원자력발전소가 위치하고 있어 더 이상 나아갈 수 없다. 이곳을 피해 길은 산길을 돌아 먼 길을 우회하여 다시 제자리를 찾아가면 다시 원자력발전소 입구에 이르게 된다. 1970년대 이후 원자력발전소는 울진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경제적으로 울진에 많은 도움을 준 반면 원자력발전소 주변 일대의 수온 상승으로 인한 어업 피해 등은 여전히 문제로 남아 있다.

남쪽에서 북쪽으로 많은 것을 보며 지나온 여정의 끝이 보이기 시작한다. 원자력발전소가 위치한 울진의 북면을 지나가면 도로는 또 바다에서 멀어지는 듯 산을 향해 달려가고 어느 듯 산을 넘어가기 위한 숨찬 걸음을 재촉한다. 산은 생각보다 높은 듯 저 모퉁이를 돌아서도 정상은 보이지 않는다. 그렇게 숨찬 길을 재촉하면 어느 듯 정상에 도달하는데 잠시 숨을 고르고 주변을 살펴보니 바다와 멀어졌던 것이 아니었다.

산자락 아래로 푸르고 푸른 동해가 흐르고 있고, 그 끝에 숨은 듯 마을이 보인다. 임금님께 올렸다고 알려져 있는 미역 ‘화포’로 유명한 고포마을이 있다. 새로 조성된 국도 7호선은 고포마을을 피해 곧장 삼척으로 향하지만 과거에는 고포마을을 지나 해안가와 인접하여 난 해변도로를 통해 삼척을 올라갔으며, 울진의 마지막 부분을 알려주는 촛대바위는 이제 강원도에 도달했음을 표시하는 표지석 역할을 하였다.

[아시안하이웨이로 거듭나는 국도 7호선]

‘경상북도 동북단’, ‘등허리 긁어서 손 안 닿는 곳’ 위치적 약점으로 통했던 울진에서 대외적으로 유일한 연결망이 되었던 국도 7호선은 이제 새롭게 태어나고 있다. 국도 7호선을 달리고 있노라면 눈에 띄는 ‘아시안하이웨이’라는 큰 표지판을 접하게 된다. 아시안하이웨이는 아시아 지역의 인적·물적 교류 확대를 위해 아시아 각국이 약 40년 전부터 논의하였고, 2006년부터 본격적으로 아시아 32개국 55개 노선, 14만㎞로 구성된 아시안하이웨이를 구성하였다.

21세기 판 실크로드라 불리는 국도 7호선은 우리나라에서는 일본~[페리이용]~부산~서울~북한~중국~동남아시아로 연결되는 AH1노선과 부산~강릉~북한~러시아로 이어지는 AH6노선의 2개 노선이 있다. 울진의 국도 7호선은 AH6노선에 해당된다. 국도 7호선은 동해안의 도시 간 물류 교통의 중심 역할과 함께 주요 관광 교통로로서 국내에서 벗어나 북한에서 러시아까지 연결되는 국제적 연결망으로 거듭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