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울진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전승되어 온 살림집의 형태와 기능 및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생활. 울진은 선사시대부터 사람들이 거주하였던 곳으로, 지역적으로는 강원도의 영동 지역과 깊은 관련이 있다. 울진 지역의 신석기 유적으로는 1983년 3월 후포면 후포리 등대산에서 발견·조사된 후포리(厚浦里) 선사유적이 있다. 이는 산꼭대기의 자연적인 구덩이를 이용한...
-
경상북도 울진군에 있는 한 채의 건물에 독립된 여러 세대가 살 수 있게 구조한 공동주택. 우리나라에 아파트 주거 형식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 서울 서대문에 풍전아파트가 건립되면서부터이다. 주택난 해결을 위해 1962년 대한주택공사가 설립되면서 아파트 건축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아파트는 주거 내 가구별 한계가 명확하지 않고, 한 단위 주거 내에 시설...
전통가옥
-
대들보를 중심으로 여러 채가 겹으로 되거나 잇달린 울진 지역의 가옥. 겹집은 홑집과 대별되는 개념으로 복렬형 가옥이라고도 한다. 한 용마루 아래 간살이의 일부는 한 줄로 배치되고, 일부는 앞뒤 두 줄로 배치되어 있는 살림집을 말한다. 용마루 아래 방들이 한 줄로 배치된 홑집에 대칭되는 것으로, 양통집까지를 포함해 겹집이라 부르기도 한다. 함경남도·평안북도와 평안북도의 주...
-
경상북도 울진군에 있는 ㅁ자 모양의 집. 뜰집이란 건물 가운데에 안뜰을 두어서 전체적으로 ㅁ자 모양을 이루고 있는 집을 말한다. 전통적인 뜰집의 구조는 전면의 중문을 중심으로 우측에는 부엌, 좌측에는 창고와 접하게 사랑채를 구성하고, 안채는 2칸 폭의 마루를 중심으로 좌우에 상방과 도장방[규방]을 두는 형태이다. 좌측 상방의 전면에는 뒤주를 두어 좌로 직각을 이루면서 사...
-
경상북도 울진 지역의 산간마을에서 실내 조명이나 난방을 위해 사용하던 시설. 곳쿨, 고콜, 코구리라고도 불리는 콧굴은 울진 지역의 산간마을뿐만 아니라 강원도와 함경도 지역의 산간마을에서 실내 등화구 겸 벽난로로 사용하던 시설이었다. 또한 감자나 고구마를 구워 먹기도 하고, 식사 때는 국이나 찌개를 데워 먹는 등의 용도로도 사용되었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실내 등화구로는...
-
경상북도 울진군 매화면 갈면리 송전에 있는 일제강점기 주거 건축. 갈면리 잿마와 인접해 있으며, 물길이 S자형으로 흐르는 송전 매화천변에 위치하고 있다. 안채는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의 겹집으로, 지붕은 경량 철판으로 팔작지붕을 이었다. 큰방과 마루를 중심으로 왼쪽에 정지와 봉당을 배치하였고, 오른쪽 칸에는 도장과 샛방을 앞뒤로 배치한 후, 연접하여 사랑...
-
경상북도 울진군 매화면 갈면리 송전에 있는 일제강점기 주거 건축. 갈면리의 잿마와 인접하여 있으며, S자형으로 흐르는 송전 매화천변에 위치하고 있다. 남동향을 한 본채는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의 겹집으로, 지붕은 슬레이트로 팔작지붕을 이었다. 평면 구성은 앞뒤로 있는 마루와 큰방을 중심으로 왼쪽 칸에 봉당과 정지를 두었고, 오른쪽 칸에는 도장과 샛방을 앞...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검성리 내골마을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전통 가옥. 검성리 까치구멍집은 지붕 용마루의 양쪽 합각에 둥근 구멍이 있는데, 공기의 유통을 위하여 낸 둥근 구멍이 까치둥지를 닮았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경상북도 북부 지역 산간촌에서 볼 수 있는 독특한 형태의 집으로, 마구간을 비롯한 모든 편의시설을 집 안으로 끌어들인 것이 특징이다. 까치구...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검성리 중금성마을에 있는 조선 말기의 전통 가옥. 검성리 엄기봉 가옥은 까치구멍집 구조를 갖고 있다. 까치구멍집은 지붕 용마루의 양쪽 합각에 둥근 구멍이 있는데, 공기의 유통을 위하여 낸 둥근 구멍이 까치둥지를 닮았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경상북도 북부 지역 산간촌에서 볼 수 있는 독특한 형태의 집으로, 마구간을 비롯한 모든 편의시...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고목리 구장마을에 있는 조선시대 전통 가옥. 고목리 전현이 가옥은 까치구멍집 구조를 갖고 있다. 까치구멍집은 지붕 용마루의 양쪽 합각에 둥근 구멍이 있는데, 공기의 유통을 위하여 낸 둥근 구멍이 까치둥지를 닮았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경상북도 북부 지역 산간촌에서 볼 수 있는 독특한 형태의 집으로 마구간을 비롯한 모든 편의시설을 집...
-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구산리 구고마을에 있는 조선시대 전통 가옥. 구산리 임무선 가옥은 겹집 구조를 갖고 있다. 겹집은 가옥의 유형이 대들보를 중심으로 여러 채가 겹으로 배치된 가옥이다. 홑집과 대별되는 개념으로 복렬형 가옥이라고도 한다. 함경남북도와 평안북도의 주변 산지, 강원도 동부의 태백산맥 양사면, 경상북도 북부 등 산간지대에 많이 분포했으나, 점차...
-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다천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6칸 겹집. 다천리는 기성면 정명천의 소지류인 다천변에 있는 산간 곡간의 오지마을이다. 다천리 권진수 가옥이 있는 다천리 상다천마을은 정명리 정명교를 건너기 전 왼쪽 정명천을 따라 난 포장길로 2㎞ 가량 간 다음, 다시 다천 골짜기로 난 꼬불꼬불한 포장길로 3.5㎞ 가량 더 들어간 산촌에 있다. 울진...
-
경상북도 울진군 매화면 매화리 까치마을에 있는 조선시대 전통 가옥. 매화리 신태희 가옥은 경상북도 울진군 매화면 매화리 까치마을 뒷산에서 흘러내리는 개천변의 저지대에 넓게 자리 잡고 있다. 매화리 신태의 가옥의 내부는 생활의 편리를 위해 일부 개조되긴 하였으나 건립 당시의 구조와 평면이 잘 보존되어 있다. 15년 전에 사랑마루를 방으로 꾸몄고, 10...
-
경상북도 울진군 매화면 매화리 최촌에 있는 일제강점기 가옥. 매화리 전용순 가옥은 장방형의 대지에 동향으로 본채가 위치하고 있으며,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의 겹집으로, 5량가 구조의 팔작기와집이다. 평면 구성은 큰방과 마루를 중심으로 왼쪽에 2통칸 정지와 봉당(封堂), 뒤주를 앞뒤로 두었고, 오른쪽에 도장과 샛방을 앞뒤로 배치한 뒤, 연접하여 사랑방과 사...
-
경상북도 울진군 매화면 매화리 최촌에 있는 조선시대 가옥. 부정형의 대지에 동향을 하고 있는 안채는 정면 4칸, 측면 4칸 규모인데, 지붕은 골기와로 팔작지붕을 이었다. 안채는 오른쪽으로 방과 마루를 덧달아낸 형태로, 울진 지역에서 보기 드문 ㄱ자형 겹집이며, 가구는 5량가의 건실한 구조이다. 평면 구성의 경우, 중앙의 2통칸 마루와 안방, 도장을 중심으로 오른쪽 칸에...
-
경상북도 울진군 매화면 매화리 최촌에 있는 일제강점기 주거건축. 매화면 매화리 최촌마을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대문을 들어서면 평탄한 대지에 동향의 안채와 남향의 마구간채가 마당을 향하여 ㄱ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겹집으로, 지붕은 골기와로 팔작지붕을 이었다. 평면 구성은 마루와 큰방을 중심으로 왼쪽 칸에는 사랑방과 도장을 앞뒤...
-
경상북도 울진군 매화면 매화리 최촌에 있는 일제강점기 주거 건축. 매화리 최진탁 가옥은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의 겹집으로, 지붕은 경량 철판으로 팔작지붕을 이었다. 평면 구성의 경우, 봉당(封堂)과 정지를 중심으로 왼쪽에 창고와 고방을 두었고, 오른쪽 칸에는 마루와 큰방을 앞뒤로 배치하였으며, 연접하여 사랑방과 도장을 마련하였다. 창고는 기존의 마구를 축...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부구리 상흥부동에 있는 조선시대 가옥. 북면 부구리 부구천변에 위치한 부구중학교를 지나 상흥부동 중앙에 있다. 안채는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까치구멍집으로, 지붕은 골기와로 팔작지붕을 이었다. 평면 구성의 경우, 앞뒤 열로 배치된 큰방과 큰 마루를 중심으로 왼쪽에 도장과 사랑방을 배치하였고, 오른쪽 칸에는 정지와 봉당을 앞뒤로 두었...
-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사동리에 있는 조선 후기 상류 주택. 조선 광해군 때 길주목사와 병마첨절제사를 지냈고, 이조참판에 증직되었던 해월(海月) 황여일(黃汝一)의 별구인 해월원 앞에 있는 주택이다. 사동리 황재훈 가옥은 해월헌 정침을 축소해 지은 주택으로, 평면 및 구조에서 해월헌과 비교가 되며, 울진 지역 상류 주택의 면모를 살펴볼 수 있다. 경상...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소곡리 골마에 있는 조선시대 전통 가옥. 소곡리 장중화 가옥은 겹집 구조를 갖고 있다. 겹집은 가옥의 유형이 대들보를 중심으로 여러 채가 겹으로 배치된 가옥이다. 홑집과 대별되는 개념으로 복렬형 가옥이라고도 한다. 함경남북도와 평안북도의 주변 산지, 강원도 동부의 태백산맥 양사면, 경상북도 북부 등 산간지대에 많이 분포했으나, 점차 남쪽으...
-
경상북도 울진군 매화면 오산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주거 건축. 매화면 오산리 초산마을의 뒷산 경사지에 위치하고 있다. 2004년 조사 당시 빈집이었으며, 정확한 건립 연대는 알 수 없다. 측면으로 난 입구에 들어서면 동향으로 있는 안채가 마당을 향해 자리 잡고 있고, 마당의 왼쪽에는 단칸 규모의 헛간채가 배치되어 있다. 안채는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의 겹집...
-
경상북도 울진군 금강송면 왕피리에 있는 조선 말기 온돌 중심형 겹집. 왕피리 거리고마을은 금강송면사무소가 있는 삼근리에서 남쪽 산길과 여러 재를 넘어 1시간 정도 거리에 있는 왕피천 상류의 산촌 마을이다. 왕피리 김성엽 가옥은 왕피천변 고지대의 좁은 산록 경사지에 있다. 경상북도 산간 지역의 가옥 구조와 평면 형태가 잘 반영된 마루가 있는 온돌 중심...
-
경상북도 울진군 매화면 매화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울진 매화리 윤광수 가옥은 뜰집 구조를 갖고 있다. 뜰집은 집 가운데에 안뜰을 두어서 전체적으로 ㅁ자 모양을 이루고 있는 집이다. 중부 지방의 ㅁ자집에 비하여 평면상 몇 가지 구별되는 점이 있다. 즉, 몸채의 기본 형태는 ㅁ자 모양인데 전면 사랑채가 좌우로 약간 길어 앞쪽으로 면하고 있다. 큰부엌은...
-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월송리 달효마을에 있는 조선시대 주거 건축. 평해읍 월송리 달효마을 복판의 넓은 평지에 위치하고 있다. 안채는 정면 4칸, 측면 3칸 반 규모의 ㄱ자형 겹집으로, 지붕은 골기와로 팔작지붕을 이었다. 8칸 겹집을 기본형으로 왼쪽에 마구 1칸을 달아낸 평면 구성을 하고 있다. 평면의 경우 마루 2칸과 큰방, 도장을 중심으로 오른쪽에 앞뒤 2...
-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읍남리에 있는 조선 말기 상류 주택. 울진읍 동남쪽 600m 지점의 뒷산골에 남아 있는 ㅁ자형 주택이다. 뒷산골은 서쪽 산 너머로는 남대천, 동쪽 산 너머로는 동해와 접해 있는 산간 마을이며, 남쪽으로는 남대천과 동해까지 이어지는 곡간 경작지가 있다. 울진 지역의 상류 주택의 면모를 파악할 수 있는 ㅁ자형 정침을 비롯해 두지,...
-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읍남리 샛골에 있는 겹집. 읍남리 뒷산골은 울진읍에서 1.0㎞ 가량 떨어진 지점으로, 이곳은 남대천과 동해 사이에 형성된 나지막한 야산 골짜기이다. 민가는 이 골짜기를 따라가면서 드문드문 민가가 들어서 있다. 읍남리 유영숙 가옥 서쪽에는 읍남리 유상욱 가옥이 있고, 남쪽으로 조금 내려간 지점에 샛골이 있다. 읍남리 유영숙 가옥...
-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읍남리에 있는 조선시대 ㅁ자형 상류 주택. 울진읍 읍내리 남동쪽의 포장길로 남대천변 동쪽 산을 넘어가면, 남북으로 길쭉하게 뻗어내린 야산 사이로 뒷산골이 있다. 뒷산골은 곡간 경작지로 뒷산골 남단 산록에 읍남리 유한우 가옥이 있다. ㅁ자형 정침 전방에 아래채를 비롯한 건물 2동이 더 있었으나 지금은 없다. 유한우는 유상욱의 6...
-
경상북도 울진군 금강송면 전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온돌 중심형 10칸 겹집. 광비천을 따라 난 울진~봉화간 국도 36호선변의 광회리 외광비마을에서 북쪽 너지내골로 2.4㎞ 가량 올라가면 갈림길이 나온다. 이 갈림길에서 왼쪽 갈마지골 방향의 포장길로 다시 2.3㎞ 가량 내려가면 낙동강변의 구릉지에 전곡리 원곡동이 있다. 이 마을 북서쪽 끝에 전곡리 방도천 가옥이...
-
경상북도 울진군 온정면 조금리에 있는 조선 말기 온돌 중심형 6칸 겹집. 백암온천지구가 있는 소태리에서 남대천변의 남쪽 포장길로 3.5㎞ 가량 들어간 천변 산록에 하조금마을이 있다. 이곳은 남대천을 따라 소태리, 온정리, 조금리를 거쳐야만 들어갈 수 있는 산간 오지이다. 하조금마을은 천변, 또는 골짜기 입구나 산록에 띄엄띄엄 작게는 서너 채, 많게는 20여 호...
-
경상북도 울진군 온정면 조금리 하조금마을에 있는 조선 후기 온돌 중심형 10칸 겹집. 울진군 온정면을 관통하는 남대천을 따라 크고 작은 마을들이 띄엄띄엄 산촌을 이룬다. 조금리 이원재 가옥은 온정면에서도 산간 오지로 알려진 조금리 하조금마을 남단의 뒤쪽에 위치한다. 백암온천지구가 있는 소태리에서 남대천을 따라 3.5㎞ 가량 들어간 천변 산록에 하조금...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주인3리 절골에 있는조선시대 전통 가옥. 주인리 박영서 가옥은 겹집 구조를 갖고 있다. 겹집은 가옥의 유형이 대들보를 중심으로 여러 채가 겹으로 배치된 가옥이다. 홑집과 대별되는 개념으로 복렬형 가옥이라고도 한다. 함경남북도와 평안북도의 주변 산지, 강원도 동부의 태백산맥 양사면, 경상북도 북부 등 산간지대에 많이 분포했으나, 점차 남쪽으...
-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진복리 홍촌에 있는 조선시대 전통 가옥. 진복리 홍순무 가옥은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진복리 홍촌 서편의 산기슭에 위치하고 있다. 정침은 정면 4칸, 측면 3칸 반 규모의 ㅁ자형 기와집이다. 평면은 전면 중앙의 대문을 열고 들어가면 작은 안마당이 있고, 안마당 뒤편 중앙에 넓은 2칸 대청이 자리 잡고 있다. 대청은 안마당 쪽으로 4척(尺...
-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척산리 척산마을에 있는 일제강점기 10칸 겹집. 척산면사무소 남쪽에 정명천을 끼고 ⊂자형으로 생긴 야산 골 안에 척산마을이 있다. 오랜 마을의 역사만큼이나 많은 고가가 남아 있는 전통 마을이다. 국도 7호선이 관통하는 남동쪽을 마을 입구로 삼았고, 집들은 골짜기 복판으로 난 골목 양편으로 들어서 있다. 마을 입구에서 비교적 안쪽에 있는...
-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척산리 척산마을에 있는 일제강점기 10칸 겹집. 척산면사무소 남쪽에 정명천을 끼고 ⊂자형으로 생긴 야산 골 안에 척산마을이 있다. 순흥안씨가 오래전에 개척한 곳으로 그 후손들이 세거해 온 탓에 고가가 많이 남아 있는 전통 마을이다. 국도 7호선이 관통하는 남동쪽을 마을 입구로 삼았고, 집들은 골짜기 복판으로 난 골목 양편으로 들어서 있다...
-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평해리에 있는 조선시대 주거 건축.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평해리 상성리마을 정미소 뒤에 위치하고 있다.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의 8칸 북방식 온돌 중심형 겹집으로, 지붕은 골기와의 팔작지붕이다. 평면 구성의 경우 전열 왼쪽부터 정지방 1칸, 우물마루 대청 2칸, 상방 1칸이며, 후열로는 정지 2칸 안방 1.5칸 도장[광...
-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평해리 상성리마을에 있는 조선시대 주거 건축. 평해리 상성리마을에 있는 평해정미소 뒤편에 위치하고 있다. 동남향한 안채는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의 겹집인데, 지붕은 골기와로 팔작지붕을 이었다. 평면은 오른쪽부터 정지와 방, 큰방과 좌우 2통칸 마루, 앞뒤 2통칸 사랑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샛방은 기존 도장, 사랑방은 기존 윗방을 합...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하당리 석촌에 있는 조선 말기 주거 건축. 안채는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의 겹집인데, 지붕은 골슬레이트로 팔작지붕을 이었다. 안채의 평면 구성은 왼쪽부터 앞뒤 열로 2통칸 사랑방, 도장과 샛방·마루, 큰방과 마루, 저지와 봉당(封堂), 뒤주와 마구로 이루어져 있다. 샛방 앞에 마루를 놓기 위해 방벽을 배면으로 확장시켰고, 사랑방과 도장은 측면으...
-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행곡리에 있는 조선시대 전통 가옥. 행곡리 진기웅 가옥은 겹집 구조를 갖고 있다. 겹집은 가옥의 유형이 대들보를 중심으로 여러 채가 겹으로 배치된 가옥이다. 홑집과 대별되는 개념으로 복렬형 가옥이라고도 한다. 함경남북도와 평안북도의 주변 산지, 강원도 동부의 태백산맥 양사면, 경상북도 북부 등 산간지대에 많이 분포했으나, 점차 남쪽으로...
-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호월리에 있는 조선 말기 가옥. 울진읍에서 북쪽으로 3㎞ 가량 떨어진 호월리 무월동 안쪽에 있다. 무월동은 남쪽으로 남대천과 인접해 있고, 서쪽과 북쪽은 나지막한 마을 뒷산을 등지고 천변 평야인 무월들을 바라보며 집들이 들어서 있다. 정침은 60여 년 전에 내부 수리를 했고, 월호당도 67년 전에 부분적으로 구조를 변경했다....
-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화성리 용장동에 있는 조선 말기 6칸 까치구멍집. 경상북도 북부 지역에 많이 분포하는 6칸 까치구멍집으로, 울진군 내에는 죽변면 일대에서만 몇 채 보이는 민가이다. 죽변면에서 서쪽 4㎞ 지점에 위치한 화성리 용장동에 있는 용장교회 왼쪽편에 있는 가옥이다. 용장동은 울진읍 외곽에 있는 산간마을로 16세기 초에 해주최씨 최유길(崔...
-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화성리에 있는 조선 후기 8칸 겹집. 죽변면 내에서 서쪽 4㎞ 지점에 위치한 화성리 용장동에 있는 6칸 까치구멍집인 화성리 장두용 가옥 뒤에 있다. 용장동은 울진읍 외곽에 있는 산간 마을로 16세기 초에 해주최씨 최유길(崔有吉)이 개척하여 정착하였다 전한다. 화성리 주월영 가옥은 한옥형 교회인 용장교회와 6칸 까치구멍집이 남아...
-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사동리에 있는 조선 중기 주거건축. 해월헌은 조선 광해군 때 길주목사를 지내고 이조참판에 증직되었던 해월(海月) 황여일(黃汝一)[1556~1622]의 종택과 별구(別構)인 대청이다. 1588년(선조 21)에 건립된 건물로 1847년(헌종 13)에 후손들이 현 종택 안으로 이축하였다. 해월헌 주위에는 토석 담장을 둘렀으며, 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