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800389
한자 平海里碑石群
영어의미역 Monument Stones in Pyeonghae-ri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봉평리 52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최인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석군
건립시기/일시 1837년 11월[우태영 애민선정비]연표보기|1799년 11월[권준 청덕영세불망비]연표보기|1964년 8월[박호 선정비]연표보기|1844년 9월[신치응 영세불망비]연표보기|1829년 3월 8일[김성규 영세불망비]연표보기|1909년 3월[박제범 청덕선정비]연표보기|1868년 8월[심능무 영세불망비]연표보기|1909년 3월[손영복 영세불망비]연표보기|1871년 2월[이윤흡 영세불망비]연표보기|1847년 12월[신치응 휼해영세불망비]연표보기|1890년[이승원 영세불망비]연표보기
관련인물 우태영(禹台榮)|권준(權晙)|박후호(朴侯虎)|신치응(申致應)|김성규(金星圭)|박제범(朴齊範)|심능무(沈能武)|손영복(孫永復)|이윤흡(李玧翕)|이승원(李承遠)|이희대(李熙大)
재질 화강암
높이 우태영 애민선정비 124㎝|권준 청덕영세불망비 156㎝|박호 선정비 168.5㎝|신치응 영세불망비 125㎝|김성규 영세불망비 120㎝|박제범 청덕선정비 104㎝|심능무 영세불망비 39㎝|손영복 영세불망비 94㎝|이윤흡 영세불망비 83.5㎝|신치응 영세불망비 72.5㎝|신치응 휼해영세불망비 70㎝|이승원 영세불망비 99㎝|이희대 영세불망비 88.5㎝
너비 우태영 애민선정비 43㎝|권준 청덕영세불망비 46㎝|박호 선정비 45㎝|신치응 영세불망비 47㎝|김성규 영세불망비 47.5㎝|박제범 청덕선정비 40㎝|심능무 영세불망비 39㎝|손영복 영세불망비 34㎝|이윤흡 영세불망비 37㎝|신치응 영세불망비 33㎝|신치응 휼해영세불망비 32㎝|이승원 영세불망비 37㎝|이희대 영세불망비 46㎝
소재지 주소 경북 울진군 죽변면 봉평리 521
소유자 평해향교

[정의]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향교에 있었던 조선 후기 평해 지역 지방관의 업적을 기리는 13기의 비.

[개설]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평해리 평해향교 안 태화루 앞에는 13기의 비석이 있었다. 향교 직원의 업적을 기리는 비석 1개를 제외하면 나머지 12개의 비석은 지방관의 선정을 기리는 선정비(善政碑)와 불망비(不忘碑)이다. 비석들은 태화루 남쪽 석축 아래 동서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었다. 동쪽의 3기는 독립된 비좌 위에 비신을 고정하고 있으나, 나머지 10기는 시멘트로 길게 비좌를 마련하고 비신을 고정했다. 동쪽에서 서쪽으로 배열되어 있었던 비석들을 차례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군수 우태영 애민선정비(郡守禹台榮愛民善政碑)

화강암으로 제작한 귀접이 비석으로 독립된 비좌가 있다. 비석의 규모는 높이 124㎝, 너비 43㎝, 두께 13㎝이다. 비석의 전면에는 평해군수 우태영이 백성을 사랑하고, 좋은 정치를 베풀었음을 기리는 비석이라는 뜻으로 “군수우공태영애민선정비(郡守禹公台榮愛民善政碑)”라고 새겼다.

앞면의 큰 글자 크기는 가로 8㎝, 세로 6㎝이고, 앞면과 측면의 작은 글씨 크기는 가로 4㎝, 세로 4㎝이다. 좌우에 4언 4구의 명(銘)을 새겼으며, 측면에는 “도광정유십일월일(道光丁酉十一月日)”이라는 건립연대가 있다. 이에 따라 비석은 1837년(헌종 3) 11월에 건립되었다. 군수 우태영은 무과에 급제하여 1835년(헌종 1) 1월 22일에 평해군수로 부임하여, 1837년(헌종 3) 12월 24일 울산우후(蔚山虞侯)로 발령이 나서 이임하였다.

2. 군수 권준 청덕영세불망비(郡守權晙淸德永世不忘碑)

화강암으로 제작한 비석으로 독립된 비좌와 갓 모양의 지붕[가첨]이 있다. 지붕에는 꽃 모양의 무늬를 새겨 넣었는데, 두께 18㎝, 높이 43㎝이며, 비신은 높이 113㎝, 너비 46㎝, 두께 13㎝이다. 비신의 앞면에는 “군수권공준청덕영세불망비(郡守權公晙淸德永世不忘碑)”라 새겼는데 글자의 크기는 가로 7㎝, 세로 5.5㎝이다.

뒷면에는 글자의 크기가 가로 7.5㎝, 세로 10㎝로 “가경사년기미십일월일(嘉慶四年己未十一月日)”이라는 비석의 건립 연대가 있는데, 1799년 11월에 건립하였다. 군수 권준은 문과에 급제하여 1798년(정조 22) 12월 14일 평해군수로 부임하였다가, 1800년 8월 23일 장령으로 발령받았으나, 사건 보고를 지체하였다 하여 잡혀갔다.

3. 군수 박호 선정비(郡守朴虎善政碑)

화강암으로 지붕과 비신, 비좌를 제작한 비석으로 최근에 제작하여 옛 비석을 대체하였다. 비석의 규모는 지붕이 너비 75㎝, 두께 50㎝, 높이 35㎝이다. 비신은 높이 133.5㎝, 너비 45㎝, 두께 19㎝이다. 비좌는 가로 70㎝, 세로 45㎝이다. 비신의 앞면에는 군수인 박호가 정사를 잘하였음을 기리는 비석이라는 뜻으로 “군수박후호선정비(郡守朴候虎善政碑)”라고 새겼으며, 글자의 크기는 가로 11㎝, 세로 10㎝이다. 그 오른쪽과 왼쪽에 4언 4구의 비명이 있는데 글자의 크기는 가로 4㎝, 세로 4㎝이다.

비석의 측면과 뒷면에는 글자 크기 가로 4㎝, 세로 3.5㎝로 “단기사이구칠년갑진 팔월일(檀紀四二九七年甲辰八月日)”과 “김녕김부근근찬(金寧金富根謹撰)”, “평해손병진근서(平海孫炳鎭謹書)”, “평해유림근감(平海儒林謹監)”이라는 비석의 건립 연대와 관계한 인물을 나열하고 있어, 이 비석이 1964년 8월에 평해 지역 유림에 의하여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평해군수 박호는 문과에 급제하여 1566년(명종 21) 11월 6일 부임하여, 1569년(선조 2) 6월 15일 좌천되어 이임하였다.

4. 군수 신치응 영세불망비(郡守申致應永世不忘碑)

월두형 비석으로 비좌 없이 시멘트 단에 화강암으로 제작한 비신을 고정했다. 규모는 너비 47㎝, 두께 16㎝, 높이 125㎝이다. 비신의 중앙에 “군수신공치응영세불망비(郡守申公致應永世不忘碑)”라 새겼으며, 글자의 크기는 가로 7㎝, 세로 7㎝이다.

앞면 좌우와 옆면의 글자 크기는 가로 4.5㎝, 세로 4㎝로 4언 4구의 비명과 “도광이십사년구월일팔면입(道光二十四年九月日八面立)”을 새기고 있어 비석의 건립연대가 1844년(헌종 10) 9월이며, 평해군 8개 면의 주민들이 이 비석을 세웠음을 알 수 있다. 군수 신치응은 무과에 급제하여 1842년(헌종 8) 7월 21일 부임하여, 1846년(헌종 12) 12월 강진우후(康津虞侯)로 이임하였다.

5. 순찰사 김성규 영세불망비(巡察使金星圭永世不忘碑)

화강암으로 제작하여 비좌 없이 시멘트 단에 비신을 고정하였다. 비석의 규모는 너비 47.5㎝, 높이 120㎝, 두께 13.5㎝이다. 비신의 중앙에 글자 크기 가로 7㎝, 세로 6㎝로 “순찰사김공성규영세불망비(巡察使金公星圭永世不忘碑)”와 4언 8구의 비명을 새겼다.

뒷면에는 글자 크기 가로 7㎝, 세로 5㎝로 “도광구년을사삼월팔일팔면수(道光九年乙巳三月八日八面竪)”와 “감역황경담김수방(監役黃景淡金秀芳)”을 새기고 있어, 1829년(순조 29) 3월 8일 평해군 8개면 주민들이 세웠으며, 황경담과 김수방이 비석 건립을 감독하였음을 알 수 있다.

6. 군수 박제범 청덕선정비(郡守朴齊範淸德善政碑)

화강암으로 제작한 월두형 비석으로 비좌 없이 시멘트 단에 비신을 고정하였다. 비석의 규모는 너비 40㎝, 높이 104㎝, 두께 10㎝이다. 비신의 중앙에 글자 크기 가로 7㎝, 세로 6.5㎝로 “군수박공제범청덕선정비(郡守朴公齊範淸德善政碑)”와 4언 4구의 비명을 새겼으며, 뒷면에는 글자 크기 가로 4㎝, 세로 5㎝로 “융희삼년삼월일(隆熙三年三月日)”을 새기고 있어, 1909년(순종 3) 3월에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7. 군수 심능무 영세불망비(郡守沈能武永世不忘碑)

화강암으로 제작한 월두형 비석으로 비좌 없이 시멘트 단에 비신을 고정하였다. 비석의 규모는 너비 39㎝, 높이 96㎝, 두께 11.5㎝이다. 비신의 중앙에 글자 크기 가로 9㎝, 세로 8㎝로 “군수심공능무영세불망비(郡守沈公能武永世不忘碑)”를 새겼으며, 좌우측으로 글자가 있으나 마모되어 읽을 수 없다.

뒷면에는 글자 크기 가로 6㎝, 세로 6㎝로 “무진팔월일구동감(戊辰八月日九洞監)”을 새기고 있어, 1868년(고종 5) 8월 9개 동이 주관하여 건립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심능무는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1865년(고종 2) 4월 15일 평해군수로 부임하여 1867년(고종 4) 2월 8일 부친상을 당하여 이임하였다.

8. 향교직원 손영복 영세불망비(鄕校直員孫永復永世不忘碑)

화강암으로 제작한 월두형 비석으로 비좌 없이 시멘트 단에 비신을 고정하였다. 비석의 규모는 너비 34㎝, 높이 94㎝, 두께 10㎝이다. 비신의 중앙에 글자 크기 가로 9㎝, 세로 7㎝로 “향교직원 손영복영세불망비(鄕校直員孫永復永世不忘碑)”를 새겼으며, 뒷면에는 글자 크기 가로 6㎝, 세로 5㎝로 “융희삼년삼월일(隆熙三年三月日)”을 새기고 있어, 1909년 3월에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9. 군수 이윤흡 영세불망비(郡守李玧翕永世不忘碑)

화강암으로 제작한 월두형 비석으로 비좌 없이 시멘트 단에 비신을 고정하였다. 비석의 규모는 너비 37㎝, 높이 83.5㎝, 두께 9.5㎝이다. 비신의 중앙에 글자 크기 가로 7㎝, 세로 6.5㎝로 “군수이공윤흡영세불망비(郡守李公玧翕永世不忘碑)”를 새겼으며, 좌우측으로 글자 크기 가로 3㎝, 세로 3㎝의 비명이 있다.

뒷면에는 글자 크기 가로 4㎝, 세로 5㎝로 중앙에 “동치십년이월일전인수(同治十年 二月日廛人竪)”를 새겼으며, 오른쪽에 “호장손경두이방□□(戶長孫炳斗吏房□□)”, 왼쪽에 “전이방황지해(前吏房黃之海)”를 새기고 있어, 1871년(고종 8) 2월 평해군 내의 상인들과 향리들이 주관하여 건립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윤흡은 무과에 급제한 후 1867년(고종 4) 4월 26일 평해군수로 부임하여 1868년(고종 5) 7월 6일 발령을 받아 이임하였다.

10. 군수 신치응 영세불망비(郡守申致應永世不忘碑)

화강암으로 제작한 월두형 비석으로 비좌 없이 시멘트 단에 비신을 고정했다. 규모는 너비 33㎝, 두께 10.5㎝, 높이 72.5㎝이다. 비신의 중앙에 글자 크기 가로 7㎝, 세로 7㎝로 “군수신공치응영세불망비(郡守申公致應永世不忘碑)”라 새겼으며, 뒷면에 글자 크기 가로 3㎝, 세로 3㎝로 “갑진오월일(甲辰五月日)”과 또 다른 글자를 새기고 있으나 마멸 때문에 읽을 수 없고, 또한 건립 연대도 확실하지 않다. 신치응이 강진 우후로 이임하는 1846년(헌종 12) 12월 이후 언젠가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측한다.

11. 군수 신치응 휼해영세불망비(郡守申致應恤海永世不忘碑)

화강암으로 제작한 월두형 비석으로 비좌 없이 시멘트 단에 비신을 고정했다. 규모는 너비 32㎝, 두께 11㎝, 높이 70㎝이다. 비신의 앞면 중앙에 글자 크기 가로 4㎝, 세로 5㎝로 군수 신치응이 어민을 구호한 업적을 길이 잊지 않는 비라는 뜻으로 “군수신공치응휼해영세불망비(郡守申公致應恤海永世不忘碑)”를 새겼다.

뒷면에 글자 크기 가로 3㎝, 세로 3㎝로 “도광이십칠년십이월일(道光二十七年十二月日)”과 “海民□□”를 새기고 있어, 1847년(헌종 13) 12월에 건립한 것임을 알 수 있다.

12. 군수 이승원 영세불망비(郡守李承遠永世不忘碑)

화강암으로 제작한 월두형 비석으로 왼쪽 윗부분이 파손되었고, 아랫부분은 비신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묻혀 비자가 보이지 않으며, 비좌 없이 시멘트 단에 비신을 고정하였다. 비석의 규모는 너비 37㎝, 높이 99㎝, 두께 7㎝이다. 비신의 앞면 중앙에 글자 크기 가로 8㎝, 세로 9㎝로 “군수이공승원영세불망비(郡守李公承遠永世不忘碑)”를 새겼으며, 오른쪽과 왼쪽에 4언 4구의 비명이 있다.

뒷면에 글자 크기 가로 5㎝, 세로 5㎝로 “경인팔월일(庚寅八月日)”을 새기고 있어 1890년(고종 27)에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승원은 1890년(고종 27) 9월 22일 평해군수로 부임하였으며, 1894년(고종 31) 7월 7일 내금장(內禁將)으로 발령받아 이임하였다.

13. 군수 이희대 영세불망비(郡守李熙大永世不忘碑)

화강암으로 제작한 월두형 비석으로 비좌 없이 시멘트 단에 비신을 고정하였다. 비석의 규모는 너비 46㎝, 높이 88.5㎝, 두께 16㎝이다. 비신의 앞면 중앙에 글자 크기 가로 7㎝, 세로 7㎝로 “군수이공희대영세불망비(郡守李公熙大永世不忘碑)”와 가로 3㎝, 세로 3㎝로 4언 4구의 비명을 새겼으며, 뒷면에도 글자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인위적으로 깎아 훼손하여 불망비를 세운 연대와 유래를 알 수 없다. 이희대는 무과에 급제한 후 1864년(고종 1) 2월 20일 평해군수로 부임하여, 1864년(고종 1) 10월 11일 사망하였다.

[건립경위]

조선 후기와 조선 말기에 평해군수를 역임하면서 울진 지역의 주민을 위하여 업적을 남긴 관리들과 평해향교의 발전에 이바지한 직원을 기리고자 평해 지역 주민과 유림, 향리들이 뜻을 모아 선정비와 불망비 13기를 건립하였다.

[위치]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평해리 평해읍사무소 뒤 평해향교 태화루 남쪽 석축 아래 동서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었으나 2010년 이전하여 현재는 봉평리봉평 신라비 전시관 비석거리에 있다.

[형태]

비석 대부분이 화강암으로 제작하였으며, 지붕돌과 독립된 비좌를 갖춘 것이 1기, 독립된 비좌만을 갖춘 비가 1기, 나머지는 긴 시멘트 단위에 월두형의 비신을 고정하고 있다.

[현황]

주변에 잔디를 심는 등 울진군 평해향교에서 관리하여 비석의 관리와 정비, 보존 상태가 좋았으나 울진 곳곳에 흩어져 있는 비석을 봉평신라비전시관 비석거리로 모두 이전하였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4.10.06 비석 이전에 따른 내용 변경 평해리에 있던 비석 13기가 봉평리로 이전됨에 따라 관련 내용 수정
이용자 의견
심** 내용을 수정해 주세요.
  • 답변
  • 디지털울진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해당 부분 확인 후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2014.10.01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